본문 바로가기
정보

알아두자! 동물을 구조했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?

by miagenda 2025. 4. 2.
SMALL

대한민국에서 유기동물 및 야생동물 구조 방법과 절차

유기동물이나 야생동물을 발견했을 때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동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. 각 상황별로 올바른 구조 방법과 절차, 그리고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유기동물 발견 시 대응 절차

1. 기본 확인사항

  • 동물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(부상 여부, 의식 상태, 공격성 여부)
  • 목줄이나 인식표가 있는지 확인하여 소유자 정보를 찾습니다
  • 주변에 주인이 있는지 살펴봅니다

2. 신고 및 제보

  • 지자체 동물보호센터: 각 지역 시/군/구청의 동물보호부서나 동물보호센터에 신고
  • 120 다산콜센터: 서울시의 경우 120으로 신고 가능
  • 동물보호상담센터: 1577-0954로 연락하여 도움 요청
  • 지역 동물보호단체나 유기동물 보호소에 연락

3. 임시보호 시 주의사항

  • 안전한 케이지나 상자에 동물을 보호합니다
  • 물과 음식을 제공하되, 부상당한 동물에게는 전문가 상담 후 제공
  • 다른 반려동물과 분리하여 관리합니다
  • 기본적인 위생 관리를 유지합니다

야생동물 발견 시 대응 절차

1. 신고

  • 야생동물 구조센터: 지역별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신고 (산림청, 환경부 운영)
  • 119: 접근이 어렵거나 위험한 야생동물은 119에 신고
  • 환경부 야생생물 보호관리시스템: 온라인으로 신고 가능

2. 응급처치와 주의사항

  • 가능한 한 맨손으로 접촉을 피하고 장갑을 착용합니다
  • 동물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용한 환경을 유지합니다
  •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함부로 주지 않습니다
  • 야생동물은 법적으로 보호받는 경우가 많으므로 무단 포획이나 보호는 삼가야 합니다

3. 특수한 경우

  • 멸종위기종: 발견 시 즉시 환경부나 지역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신고
  • 철새: 계절에 따라 이동 중인 철새는 자연 상태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
  • 어린 야생동물: 부모가 근처에 있을 수 있으니 함부로 접근하지 않습니다

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

1. 자신의 안전

  • 동물이 공격적이거나 위험해 보이면 절대 직접 접근하지 말고 전문가에게 맡깁니다
  • 특히 야생동물은 질병을 갖고 있을 수 있으므로 직접 접촉은 피합니다
  • 큰 맹수나 독사 등 위험한 동물은 절대 직접 구조하려 하지 말고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

2. 법적 사항

  • 야생동물은 「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무단 포획이나 보호가 금지되어 있습니다
  • 멸종위기종은 특별 보호 대상이므로 발견 시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
  • 유기동물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신고하는 것이 법적으로 올바른 방법입니다

3. 동물 복지 고려

  • 동물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존중합니다
  •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합니다
  •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는 것이 동물의 생존 가능성을 높입니다

4. 유용한 앱과 연락처

  • 환경부 '야생동물 119' 앱
  • 각 지역 동물보호센터 연락처
  • 동물보호상담센터: 1577-0954
  • 야생동물 구조 관리센터: 지역별로 상이, 환경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
우리가 발견하는 동물들은 각자의 사연과 필요가 다릅니다. 유기된 반려동물은 적절한 보호와 새로운 가정을 찾아주는 것이 중요하고, 야생동물은 최대한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. 동물을 구조할 때는 항상 자신의 안전을 우선시하면서도 동물의 복지를 고려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.

반응형
LIST